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료구조: 그래프Graph의 기본적인 이해 (2)
    각종 학습 요약/DataStructure 2022. 5. 28. 22:07

    그래프 graph (2) - 기본 개념 이해

    그래프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그래프 정보를 기록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탐색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그래프를 코드로 기록하는 방법


    그래프를 기록하는 데에는 인접행렬Adjacency Matrix이라는 방법과 인접리스트Adjacency List라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해요.
    인접행렬 방식은 행렬 형태로 이차원 배열을 만들어주고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기록하고요.
    인접리스트 방식은 정점과 연결된 정점의 정보를 링크드리스트로 연결합니다.
    두 가지 방식을 예시로 설명하기 위한 구조를 정의해야 할 것 같은데요.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존재한다고 해볼게요.

    그래프의 예시를 하나 그려봤어요. 이 그림을 가지고 설명해보겠습니다.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인접행렬 방식의 구체적인 구현은 이렇게 됩니다.
    2차원 배열을 만들면 아래 표와 같은 구조가 되겠죠? (배열은 0부터 시작이지만,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서 여기선 생략할게요)

    # 1 2 3 4
    1
    2
    3
    4

    그러면 각 정점의 번호(지금은 1,2,3,4죠)를 인덱스로 보고, 그 사이에 간선이 연결되었는지를 해당 index의 value로 넣는 거예요. 연결되었으면 1, 아니면 0. 이렇게요.
    일단 정점 '1'의 간선은 이렇게 존재합니다.

    • 1은 1(자기 자신)과 연결되어있지 않다.
    • 1은 2와 연결되어있다.
    • 1은 3과 연결되어있다.
    • 1은 4와 연결되어있다.
      그걸 배열로 표현하면 이렇게 될거에요.
    # 1 2 3 4
    1 0 1 1 1
    2
    3
    4

    아직 헷갈릴 수 있으니까 '2'의 간선 정보까지 기록해볼게요.

    • 2는 1과 연결되어있다.
    • 2는 2와 연결되어있지 않다.
    • 2는 3과 연결되어있지 않다.
    • 2는 4와 연결되어있다.
    # 1 2 3 4
    1 0 1 1 1
    2 1 0 0 1
    3
    4

    2에서 3으로 가는 간선이 존재하는데도 연결되어있지 않다고 하죠? 이 행렬의 이름은 '인접'행렬이기 때문에, 바로 옆에 인접해있어야 연결되어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전체를 표시하면 이렇게 되겠습니다.

    # 1 2 3 4
    1 0 1 1 1
    2 1 0 0 1
    3 1 0 0 0
    4 1 1 0 0

    지금은 인접 행렬을 표시하는 value를 '연결 되었는지/아닌지'만 고려해서 '1/0'으로 표현했는데요.
    간선이 값(가중치)을 가지는 경우에는 해당 가중치를 value로 넣어주기도 하고, 간선의 갯수를 value로 넣어주기도 합니다(사실 가중치와 똑같겠죠?).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인접리스트는 인접행렬과 마찬가지로 정점과 정점이 바로 인접해 있는지 정보를 기록하는데, 간선 정보를 기록하는 행렬과는 달리 정점 정보를 기록합니다.

    먼저 각 정점들을 value로 갖는 배열을 하나 만들고요.

    #
    1
    2
    3
    4

    각 인접 정점들을 링크드리스트 형태로 연결해볼게요. 순서는 중요치 않습니다.
    1번 정점을 예로 들면 이렇게 될 거에요.

    #
    1 2 3 4
    2
    3
    4

    2번 정점에 대한 링크드리스트도 만들어볼게요.

    #
    1 2 3 4
    2 1 4
    3
    4

    전부 입력하면 이렇게 되겠네요.

    #
    1 2 3 4
    2 1 4
    3 1
    4 1 2

    인접리스트는 간선이 아닌, 간선에 연결된 두개의 정점의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총 (간선의 수 * 2)개의 정보를 기록하게 됩니다.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


    그럼 이제 그래프를 순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깊이우선탐색DFS, 넓이우선탐색BFS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DFS는 스택, BFS는 큐로 구현합니다.
    어떻게 하는지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계속 알아볼게요.

    깊이 우선 탐색 DFS, Depth-First Search


    지난 포스트에서 코드로 설명하겠다고 했는데 아직 코드가 한 줄도 안나왔죠?
    시간이 부족하고 바빠서 그런 것도 있지만, 이미 설명한 적이 있기 때문이기도 해요.
    binary search tree를 설명하면서 말씀드렸던 순회 방식-inorder, preorder, postorder, 이것들이 바로 DFS에 속하는 방식들이에요.
    깊이를 기준으로 재귀적으로 탐색하는데, 다음 정점에 방문하면 depth를 내려가며 탐색해요. 끝까지 더 파고들 정점이 없을 때까지 방문한 다음에, 지정한 방식에 따라서 다음 방문할 정점을 방문하게 됩니다.

    넓이 우선 탐색 BFS, Breadth-First Search


    지금까지 계속 BST(binary search tree)를 가지고 예를 들었기 때문에, BFS도 tree를 가지고 예를 들어볼게요.
    BSF는 하나의 정점과 연결된 같은 레벨의 정점들, 즉 형제들(siblings)을 동시에 방문하는 방식이에요. 형제들을 모두 방문하고 나면, 그제서야 그 형제들과 연결된 또다른 정점(역시 같은 레벨의)으로 방문합니다.
    그렇게 해서 더 방문할 정점이 없을때까지 반복하는 방식을 가지고 넓이우선탐색이라고 말하는 거에요.

    마무리


    당장 써야할 탐색 부분은 코드가 나오지도 않았는데 왜 마무리냐고요?
    사실 이번 시간도 맨 위 제목이 '기본 개념 이해'였죠. '활용'이 아니라요. 하하...
    분량 조절에 실패해서 탐색 부분은 코드가 등장하지 못한 것입니다. 하핳.. 죄송합니다. 기본 개념만 해도 포스팅 두 번 만으로 다 설명할 수 있는 분량이 당연히 아니었는데, 정신이 좀 없었네요(공부할 게 너무 많아서 그래요!... 공부할게 많아서 물론 좋지만... 정신이 없습니다ㅜㅠ).

    다음 포스팅에서는 DFS/BFS를 구현하는 방식을 꼭!꼭!!!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